경제성 확보 어려운 수소차, 노선버스와 청소차부터 우선 도입
경제성 확보 어려운 수소차, 노선버스와 청소차부터 우선 도입
  • 이영섭 기자
  • 승인 2022.09.29 1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높은 차량 가격과 동급 내연기관 차량과 별반 차이없는 수소연료 가격, 이로 인해 민간 차원의 수소차 보급이 지연되자 정부와 제주도가 청소차와 노선버스 등에 먼저 수소차 도입을 시도한다.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 기반 그린수소 선도지역으로 대한민국 수소경제를 견인하고자 그린수소 생산과 보급․활용․산업화 밸류 체인을 갖추기 위한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을 29일 발표했다.

이에 제주도는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그린수소 초기 생태계를 구축하고, 2030년까지 거점별 생산지와 충전소를 마련하며, 2050년에는 대한민국 그린수소 거점도시로 자리 잡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번 계획에 따라 제주도는 그린수소 생산 초기 인프라를 확보하기 위해 거점별 수전해 생산단지를 건설한다.

국책과제로 진행하는 재생에너지 기반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단지로 23년 초까지 3M급, 2026년 초까지 12.5MW급 생산설비를 우선 구축한다.

구축한 생산설비를 지역 핵심 인프라로 활용하면서, 2030년까지 거점별 생산단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제주도는 수소의 안정적·경제적 보급 체계 구축을 위해 국내 1호 그린수소 충전소(함덕)를 시작으로 공공 주도로 초기 인프라를 마련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시내․시외버스, 청소차 운용을 고려한 충전소를 설치하고, 이후 수소 모빌리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동선을 고려해 2030년까지 거점별 충전소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경제성과 안전성, 주민수용성을 확보하면서 민간 충전소의 참여 여건을 조성하고 도민 주도를 통해 내연차 분야의 정의로운 전환도 함께 추진한다.

수소차가 산업·생활 전반으로 확대되도록 공공영역에서부터 버스 및 청소차, 관용차를 도입하고 점진적으로 민간 분야(승용, 상용) 보급을 병행 확대한다.

1차산업 분야에서 수소 농기계·선박을 도입하고 수소트램, 수소항만 구축 등 인프라 확대로 산업화의 기반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제주도는 2030년까지 수소버스 300대, 수소청소차 200대를 보급한는 계획이다.

또한 공공 분야의 우선 전환을 통해 수소모빌리티에 대한 도민수용성을 확보하고 전세버스, 물류트럭 등 민간분야 전환에도 행정력을 집중한다는 계획이지만 수소연료의 효용성을 생각하면 멀고도 먼 이야기다.

현재 국내 유일의 수소승용차인 넥소를 예로 들면 정부보조금이 적용된 기준으로 수소탱크를 가득 채우는데 드는 연료비는 약 5만원, 이걸로 넥소는 최대 500~600km를 주행할 수 있다. 

이는 동급 내연기관 차량과 비교할 때 약 70~80% 정도의 가격으로, 전기차가 내연기관 대비 약 30~40%임을 감안할 때 턱없이 모자란 수치다. 

여기에 어느 곳에나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전기차충전기에 비해 수소충전소는 설치비용과 주민수용성 등 해결해야 할 일이 산더미다. 

때문에 제주도는 공공 차량 위주로 먼저 차량과 충전소를 보급해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편 제주도는 수소 트램 도입을 통해 도심 교통문제를 완화하면서, 「15분 도시 제주」의 핵심 인프라로 구축·운영해 나간다.

1차 산업 분야의 농기계, 선박 등도 수소 기반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한다는 전략이다.

LPG는 가정용 수소 연료전지로 대체해 탄소배출을 줄인다. 또한, LNG를 원료로 하는 도내 화력발전소는 수소를 혼소하고 상용화 이후 수소 전소터빈을 도입해 기저 발전시설을 청정 발전소로 전환하는 것이 목표다.

도내 생태계 조성을 넘어 수소항만 조성, 그린수소 수출․입을 통해 국가 수소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그린수소의 글로벌 허브로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그린수소 산업이 제주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잡도록 관련 기업의 유치·육성, 일자리 창출, 전문인력 양성,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마련에 집중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수소 전문기업 20개를 유치·육성하고, 이와 연계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전략으로 설정했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국가 수소 전담기관과 함께 융복합 특화 교육과정 등을 신설․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제주 수소조례를 제정하고, (가칭)제주 그린수소 활성화 추진위원회를 구성한다. 그린수소의 경제성 확보를 위해 분산에너지 특별구역 지정과 연결해 제주 그린수소 전용 전력요금 신설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그린수소는 에너지 자립, 청정에너지 체계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할 새로운 에너지원이자 제주의 새로운 성장동력”이라며, “2030년 재생에너지 정부 목표인 21.5%를 가장 먼저 달성하고 풍부한 재생에너지를 바탕으로 제주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로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