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이 함께 하는 신교통수단 공론화해야...
도민이 함께 하는 신교통수단 공론화해야...
  • 제주YMCA 송규진 사무총장
  • 승인 2020.09.11 10: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의 인구는 695,000명이며, 관광객이 연간 1,500만명이 제주를 찾고 있고, 차량등록대수는 역외리스차량을 제외하더라도 40만대에 육박하고 있다. 제주도내의 주간선 및 보조간선도로의 출, 퇴근시 통행 속도는 7㎞/h~25㎞/h로 이하로 일부구간은 서울시에서 가장 정체되는 구간보다 속도가 낮은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그나마 코로나19 사태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 되면서, 차량흐름은 많이 호전되고 있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코로라19사태가 완화되면 예전 같은 교통정체는 바로 도로에서 목격할 수 있을 것은 불 보듯 뻔하다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일상은 교통수요에 비해 교통시설의 공급 부족에 원인을 찾을 수 있지만 최근에는 교통시설 공급을 위한 공간부족, 환경규제, 재원확보 문제, 재산권 보장 등에 의한 민원 제기로 인해 교통관련 인프라 구축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2017년 대중교통 준공영제를 도입하여, 노선 전면개편을 통해 노선버스에 대한 도민들이 호감도는 향상되고 있지만, 아직도 초기 계획했던 이용객 증가는 눈에 띠게 보이지 않고 있다. 중앙로 구간에 중앙차로제가 도입되어 대중교통이용에 편리성이 향상되었지만, 동서광로에 중앙차로제 도입은 계획이 유보되어 현재 까지 오고 있으며, 2021년 중앙정부예산에서도 반영이 전무하다보니, 버스 전용 차로제로 인한 시너지 효과는 기대하기 힘들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현실적 상황에서 지금부터라도 대중교통과 관광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신교통수단 도입에 공론화가 필요하다 하겠다. 

신교통수단이란 차량 및 운영시스템에 첨단기술을 적용한 대중교통수단으로써 경량전철, 신에너지 바이모달 트램, 저상굴절차량,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소형궤도열차, 전기버스, BRT등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신교통수단은 중앙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을 적극 활용하는 목적에도 부합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발상의 전환을 통해 승용차위주의 교통정책을 탈피하고, 교통인프라 구축에 투여되는 지속적인 지방재정의 한계를 해소하면서, 대중교통의 정시성을 획기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대안정책 방향이 제시가 되어야 할 시점이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2017년 말에 제주형 신교통수단 도민 품평회를 실시한 바 있다. 한국교통연구원에 의뢰하여 진행된 품평회에서는 다양한 신교통수단 중에 자기부상열차가 환경성, 경제성, 편리성에서 가장 많은 도민들이 선택한 수단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후 행정에서는 신교통수단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아쉬움이 있지만, 중요한 접근이라 생각되어진다. 

그동안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국책사업이라는 미명하에 계획 결정과정에서 도민들이 소외되어 갈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향후 교통정책을 계획하고 시행하는 과정에서 반면교사로 삼아야 하겠다.

필자가 제안하는 신교통수단도 제주특별자치도의 사회, 경제적, 기후적, 도민 공감 등이 기본전제로 진행되어야 하며, 신교통수단 시스템에 따라 차량 및 유지관리 등의 소요비용에 대규모 예산이 투여되는 만큼 도민 참여형 계획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현재 제주에서는 대중교통수단이 버스가 유일하다. 지금부터라도 수송수단의 다양화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하겠다. 포스트 코로나 이후를 대비한 장기적 비전을 가지고 제주형 신교통수단 논의가 시작되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